초연결시대의 과제를 해결할 인문학적 성찰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의 ‘초연결시대 치유인문학’의 세 번째 총서 《초연결의 인문학적 쟁점과 치유의 모색》은 초연결사회가 역설적으로 야기한 인간 고립과 인간성 외면, 정체성 혼란, 편견과 혐오 등의 문제를 종교와 문학, 영화, 역사, 인문치료 등 인문학적 방법으로 해소할 방법을 고민한다. 이 책은 ‘초연결과 인간의 문제’, ‘역사 안팎의 초연결’, ‘초연결 증상과 치유의 모색’의 3부로 구성되어 있다.
김세원의 〈포스트휴먼 시대의 종교: 데이터교를 중심으로는 유발 하라리가 명명한 데이터교 논의를 바탕으로, 첨단 과학기술과의 공존을 염두에 두고 인공지능을 능가하는 인간 고유의 특성을 일깨우고 교육하는 데에서 미래 종교의 역할을 찾는다.
이강선의 〈마술적 리얼리즘 기법으로 풀어낸 혼혈아의 정체성 갈등: 켄 리우의 〈종이 동물원〉을 중심으로〉는 주변 환경의 영향으로 백인 정체성을 선택한 중국계 미국인이 중국 고유의 전통예술에 담겨 있는 어머니의 사랑을 통해 나머지 반쪽 정체성을 수용하는 과정을 탐색한다.
김소연의 〈포스트휴머니즘 영화에서 (탈)육체성과 기술- 환상의 문제: 〈블레이드 러너 2049〉를 중심으로〉는 포스트휴머니즘 담론 안에서 (탈)육체성과 기술-환상이 어떠한 관계 속에 있는지를 다룬다.
남의현의 〈초연결시대에 다시 보는 글로컬 공간, 만주: 조선과 명의 변경지대 인식을 중심으 로〉는 초연결시대 이질적 공간으로 여겨지는 명대 만주 변경지대를 동질적 공간으로 인식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최병욱의 〈진실과 탈진실의 혼재: 그리스도교의 티베트 선교〉는 객관적 사실보다 개인적 신념과 감정이 여론 형성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탈진실’ 현상이 초연결된 사회에서 더욱 심화되고 있는 병리적 문제를 역사적 예를 들어 설명한다.
이상호의 〈미디어플랫폼 서비스 이용의 중독 요인〉은 저자가 이미 발표한 6편의 연구와 현재 진행 중인 미발표 연구를 종합 정리한 것으로,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미디어서비스에 대한 중독이 어떤 경로와 원인으로 발생하는지 탐색적으로 살펴보고 정리한다.
김정애의 〈미디어중독 개선을 위한 VR과 문학치료의 만남: 미디어중독서사 선정과 활용〉은 문학치료학적 관점에서 미디어중독 해결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되, 접근 가능한 미디어 환경을 동원하여 프로그램을 구안하기 위한 전초 단계로서 내담자의 미디어중독 문제를 확인하고, 그 반응을 촉발할 수 있는 작품을 수집ㆍ선정하게 된 과정과 그 결과를 제시한다.
이미정의 〈발달장애 청소년의 게임 과몰입과 인문치유〉는 발달장애 청소년의 인터넷 게임 과몰입으로 발생하는 소통 단절 및 관계적 어려움을 환기하고, 나와 타인의 이해와 관계적 소통을 증진할 인문치유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김세원의 〈포스트휴먼 시대의 종교: 데이터교를 중심으로는 유발 하라리가 명명한 데이터교 논의를 바탕으로, 첨단 과학기술과의 공존을 염두에 두고 인공지능을 능가하는 인간 고유의 특성을 일깨우고 교육하는 데에서 미래 종교의 역할을 찾는다.
이강선의 〈마술적 리얼리즘 기법으로 풀어낸 혼혈아의 정체성 갈등: 켄 리우의 〈종이 동물원〉을 중심으로〉는 주변 환경의 영향으로 백인 정체성을 선택한 중국계 미국인이 중국 고유의 전통예술에 담겨 있는 어머니의 사랑을 통해 나머지 반쪽 정체성을 수용하는 과정을 탐색한다.
김소연의 〈포스트휴머니즘 영화에서 (탈)육체성과 기술- 환상의 문제: 〈블레이드 러너 2049〉를 중심으로〉는 포스트휴머니즘 담론 안에서 (탈)육체성과 기술-환상이 어떠한 관계 속에 있는지를 다룬다.
남의현의 〈초연결시대에 다시 보는 글로컬 공간, 만주: 조선과 명의 변경지대 인식을 중심으 로〉는 초연결시대 이질적 공간으로 여겨지는 명대 만주 변경지대를 동질적 공간으로 인식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최병욱의 〈진실과 탈진실의 혼재: 그리스도교의 티베트 선교〉는 객관적 사실보다 개인적 신념과 감정이 여론 형성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탈진실’ 현상이 초연결된 사회에서 더욱 심화되고 있는 병리적 문제를 역사적 예를 들어 설명한다.
이상호의 〈미디어플랫폼 서비스 이용의 중독 요인〉은 저자가 이미 발표한 6편의 연구와 현재 진행 중인 미발표 연구를 종합 정리한 것으로,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미디어서비스에 대한 중독이 어떤 경로와 원인으로 발생하는지 탐색적으로 살펴보고 정리한다.
김정애의 〈미디어중독 개선을 위한 VR과 문학치료의 만남: 미디어중독서사 선정과 활용〉은 문학치료학적 관점에서 미디어중독 해결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되, 접근 가능한 미디어 환경을 동원하여 프로그램을 구안하기 위한 전초 단계로서 내담자의 미디어중독 문제를 확인하고, 그 반응을 촉발할 수 있는 작품을 수집ㆍ선정하게 된 과정과 그 결과를 제시한다.
이미정의 〈발달장애 청소년의 게임 과몰입과 인문치유〉는 발달장애 청소년의 인터넷 게임 과몰입으로 발생하는 소통 단절 및 관계적 어려움을 환기하고, 나와 타인의 이해와 관계적 소통을 증진할 인문치유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