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지난 세기 급속한 근대화를 거치며 밀려든 서양담론에 우리는 깊이 빠져들었고 근대 이성주의를 추종하게 되었다. 그 결과 갈수록 행복지수는 내려가고 인간으로서의 정체성은 흔들리며 충격적인 사회적 이슈들로 사회는 혼돈에 빠져 있다. 우리는 인성교육으로 이러한 문제점들을 보완해야 하며, 그 방법 중 하나가 우리의 유학적 전통 속에 내재해 있는 인성교육의 장점을 계승하는 것이다.
명심보감이나 동몽선습, 격몽요결은 전근대시기의 대표적인 초학교재로 인성교육이 중요시되던 전근대사회부터 오늘날까지 수백 년 동안 가정과 서당․학교에서 아동교육의 기본교재로 널리 쓰이면서 우리 민족의 도덕적 자아를 형성하는데 크게 기여했다. 이들 초학교재에서 말하는 근면․신중․인내․효성․우애․청렴․겸손․경계․공경․근신․검소․신뢰․관용 등의 덕목은 현대인에게 부족한 도덕적 감성을 함양하는 데 좋은 역할을 하고 있다.
□ 주제어
인성, 교육, 명심보감, 동몽선습, 격몽요결